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철학적 사색

트럼프의 관세전쟁, 세계 경제의 판을 흔들다 본문

꿀팁 정보 다모아

트럼프의 관세전쟁, 세계 경제의 판을 흔들다

킹옥동 2025. 4. 21. 22:28
728x90
반응형
SMALL

AP연합뉴스 갈무리

트럼프는 왜 관세전쟁을 시작했을까?

2016년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우며 대통령에 당선됐습니다. 그의 핵심 공약 중 하나는 바로 무역 불균형 해소였죠. 특히 중국과의 무역 적자를 문제 삼으며 미국 제조업 부활을 외쳤고, 취임 후엔 본격적인 고율 관세 부과에 나섰습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 수천억 달러어치에 25%까지 관세를 부과하면서 시작된 것이 바로 ‘미중 무역전쟁’입니다.


글로벌 경제에 미친 충격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단순히 미국과 중국 사이의 갈등을 넘어 전 세계적인 경제 충격을 유발했습니다.

  • 📉 무역량 감소: 미국과 중국의 수출입이 급감
  • 📈 물가 상승: 관세로 인해 수입 제품 가격이 오르고, 소비자 부담 증가
  • 🏭 공급망 교란: 특히 전자, 자동차, 철강 산업이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 큰 타격
  • 😓 투자 위축: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신규 투자에 소극적

중국은 어떻게 대응했을까?

중국은 트럼프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 정면 대응하며 자국 중심의 경제 전략을 강화했습니다.

중국의 대응 전략

  • 보복 관세: 미국산 농산물,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품목에 맞불 관세
  • '쌍순환 전략' 추진: 외부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시장 중심으로 성장 구조 개편
  • RCEP 체결: 아세안, 일본, 한국 등과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미국 없는 무역 연대 강화
  • '중국 제조 2025' 가속화: 반도체·AI·로봇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산업 업그레이드

즉, 미국에 덜 의존하면서도 국제 협력의 틀을 유지하는 이중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러시아는 어떻게 움직였을까?

러시아는 미국의 보호무역과 제재 강화 흐름 속에서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러시아의 대응 전략

  • 중·러 경제협력 확대: 천연가스, 원유 수출 확대 + 위안화 결제 도입
  • 탈달러화: 국제 무역에서 달러 비중 축소, 루블·위안 비율 증가
  • 국산 산업 육성: 서방 제재에 대응해 농업·에너지 등 자국 산업 자립 강화
  • 브릭스(BRICS) 연대 강화: 인도·브라질 등 신흥국과의 협력 확대를 통해 서방 중심 경제 질서에 맞서려는 전략

러시아는 무역 자체보다는 지정학적 균형을 맞추는 데 집중, 미국 중심의 경제질서에 대항하는 다극 체제 구축에 힘쓰고 있어요.


미국은 왜 세계 경찰에서 '자국 우선'으로 바뀌었을까?

냉전 이후 전 세계를 이끌던 세계 경찰 미국은 최근 들어 '자국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 중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국내 경제 악화와 산업 공동화
  • 중산층 몰락에 따른 정치 불만 폭발
  • 글로벌화의 부작용에 대한 대중의 피로감
  • 중국의 급부상에 대한 위기감

트럼프는 이런 흐름을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준 인물일 뿐, 자국 보호주의는 미국 정치 전반의 새로운 표준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흐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트럼프의 관세전쟁은 단순한 ‘무역 싸움’이 아닙니다. 패권 국가 미국이 흔들리고 있고, 이에 대응하려는 중국과 러시아가 움직이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이제 세계는 단극 체제가 아닌 다극 체제로 재편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우리는 더 많은 혼란과 경쟁을 겪게 될지도 모릅니다.

경제는 결국 연결된 흐름입니다. 어느 한 나라의 선택이 전 세계로 퍼져나갑니다. 이럴 때일수록 흐름을 잘 읽는 것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