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공연
- 부동산기업#지방정부#공생관계#토지#수익#성과#승진#헝다사태#채무불이행#정치성과중심시스템#투기성수요#중앙정부
- 주말데이트
- 오빠랑
- 뮤지컬
- 발레
- 통신사#ai#신기술#초#초격차#gpu#구글#에이닷#코파일럿#보이스피싱#보안
- 이재명#대통령후보#사법리스크#유권자#투표#전원합의체#피선거권박탈#정치#사법
- 폰#벽돌폰#스마트폰#가로본능#초콜릿폰#엘지사이언스#스카이#삐삐#ai#비서#아이폰#갤럭시
- 트럼프#세계경찰#관세전쟁#중국#러시아#대응#자국우선주의#보호무역#중산층#무역싸움#패권국가
- 혜화
- 가을
- 사진전
- 축제
- LG아트센터
- 대학로
- 로맨틱코미디
- 통신사#ktf#kt#lg$skt#요금제#무제한#연결#초연결#ai#전파#011#016#018
- 중국#부동산#경기침체#부채#지방정부#부동산기업#헝다기업#시스템붕괴#구조적위기#제조업#구조적변화#생산성중심#지속가능한소비#혁신
- 데이트코스
- 자기랑
- 휴대폰#구매#호갱#호구#똑순이#공시지원금#선택약정#견적서#알뜰폰#스마트초이스#통신사
- 전시회
- 데이트
- 블루베리#사랑#잼#수확#부모님#밭
- 전쟁#우크라이나#러시아#에너지안보#곡물수급#신냉전#변곡점#미국#평화협상
- 연극
- 카이
- 콘서트
- 산딸기#딸기#스무디#산딸기스무디는왜없어?#묘종#제철#가을#봄#뿌리
Archives
- Today
- Total
철학적 사색
“중국식 부동산 모델”의 두 축: 부동산 기업과 지방정부의 공생 구조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단순한 민간 시장이 아니라,
국가 정책·재정·금융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얽힌 구조야.
그 중심에는 부동산 개발 기업과 지방정부라는 두 플레이어가 있어.
1️⃣ 지방정부의 ‘토지 재정’ 의존 구조
토지 = 지방정부의 ‘ATM’
중국에서 토지는 기본적으로 국유 자산이야.
도시 내 토지는 국가 소유, 농촌 토지는 집체(집단) 소유 구조. 즉, 지방정부가 ‘토지를 시장에 공급’하는 권한을 가졌지.
지방정부 수입의 약 40~50%가 ‘토지 사용권 판매’ 수익에서 나옴.
이걸 "토지재정(land finance)"라고 불러.
작동 방식은?
- 지방정부는 농촌 토지를 수용해 도시 개발용으로 전환
- 이를 부동산 기업에 토지 사용권 형태로 매각
- 여기서 발생한 막대한 수익으로 인프라 개발, 공공 서비스, 지방 공무원 급여 등 예산 확보
- 부동산 가격 상승 = 더 높은 토지 수익 → 성장률 상승 → 승진 평가에도 유리 (👈 중요한 정치 메커니즘!)
✅ 즉, 지방정부는 ‘토지 → 수익 → 성장’의 순환 고리로 자신들의 예산과 성과를 유지했어.
2️⃣ 부동산 기업의 고레버리지 개발 모델
“헝다”를 예로 들면?
- 헝다그룹(恒大集団)은 수많은 부동산 기업 중 대표적인 ‘빚내서 땅 사고, 집 짓고 파는’ 회사야.
- 이들은 은행·신탁·섀도우 뱅킹 등에서 자금을 빌려 토지를 사들이고,
- 분양 계약금으로 추가 자금 확보,
- 건설은 외주로 돌리고, 수익이 생기기 전에 또 다른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순환형 투자 시스템을 운영했어.
이 구조의 핵심 문제점?
- 자체 자본 대비 부채 비율(레버리지 비율)이 너무 높았음
- “선분양” 제도로 인해 미분양 리스크가 커졌고,
- 집이 팔리지 않거나 금융 규제가 강화되면 바로 현금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는 구조
이런 시스템은 경기 호황 땐 엄청난 수익을 내지만, 금리 인상·부동산 규제·인구 감소 등 악재가 겹치면 바로 무너질 수 있음.
이 둘은 어떻게 공생했나?
지방정부와 부동산 기업은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구조였어.
부동산 기업의 역할지방정부의 역할
토지를 고가에 매입 → 지방정부에 수익 제공 | 토지를 지속적으로 공급 → 기업에 기회 제공 |
개발 통해 GDP 상승 기여 | 성장률 통계 상승 → 지방 관리 승진에 유리 |
고용 창출 및 도시 활성화 | 교통·인프라 확장으로 도시 가치 상승 |
이걸 “정치경제적 유착 구조”라고도 표현할 수 있어.
문제는 언제 터졌을까?
- 부동산 과잉 공급
- 헝다 사태 (2021): 300조 원 이상 부채, 채무 불이행
- 중앙정부의 ‘3개 레드라인 정책’ 발표 (2020)
→ 자산 대비 부채 비율, 순자산 대비 부채, 단기 부채 비율을 기준으로 대출 제한
이후, 지방정부는 토지 매각 수입이 급감했고, 부동산 기업은 자금 조달에 실패해 프로젝트 중단과 파산이 이어졌지.
결론: 이 구조는 왜 무너졌나?
- 공공 자산(토지)을 단기 수익 모델로 사용
- 금융 리스크 관리 미흡
- 정치 성과 중심 시스템이 구조 개혁보다 단기 성장에 집착
- 투기성 수요가 실제 주거 수요를 초과함
중국 정부는 이제 이 고리를 끊기 위해 ‘투기 억제 → 실수요 중심 → 균형 성장’으로 방향을 전환 중이야.
하지만 이 시스템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됐기 때문에, 그 충격도 결코 작지 않아.
728x90
반응형
LIST
'꿀팁 정보 다모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사 이야기 – 그 시절 우리가 쓰던 011, 016, 그리고 5G 시대까지 (0) | 2025.04.22 |
---|---|
이 조그만 기계가 세상을 바꿨다?! (1) | 2025.04.22 |
"중국 경제, 부동산이라는 덫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1) | 2025.04.21 |
트럼프의 관세전쟁, 세계 경제의 판을 흔들다 (1) | 2025.04.21 |
부모님 밭에 정성 한 스푼, 블루베리 심기 가이드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