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 정보 다모아

노동자의 권리, 그 숭고한 가치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킹옥동 2025. 4. 30. 23:21
728x90
반응형
SMALL

– 피와 땀으로 이뤄낸 권리의 역사

노동자 권리 쟁취 연표 인포그래픽

연도                사건                                                                          의미
1886년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사건 세계 노동절의 기원, 8시간 노동제 요구
1923년 한국 최초 노동조합 ‘원산총파업’ 자주적 노동자 조직의 시작
1970년 전태일 분신 사건 한국 노동 인권운동의 전환점
1987년 6월 민주항쟁 & 7·8·9 노동자 대투쟁 전국적 노동조합 설립 확산 계기
1995년 민주노총 출범 투쟁 중심의 전국 단위 노동조합 탄생
2018년 주 52시간제 도입 장시간 노동 구조에 제도적 제동
2021년 플랫폼 노동자 산재 적용 확대 새로운 노동형태에 대한 제도적 대응 시작

노동자의 권리란?

노동자의 권리란, 근로자가 인간답게 일하고, 정당한 대가를 받으며, 안전하고 존엄하게 노동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에는 최저임금, 노동시간 제한, 휴식·휴가, 고용 안정, 단체행동권 등이 포함됩니다.

지금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이 권리들이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노동자 권리를 위한 역사적 투쟁의 시작

노동자 권리 쟁취 연표 

연도                사건                                                                           의미
1886년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사건 세계 노동절의 기원, 8시간 노동제 요구
1923년 한국 최초 노동조합 ‘원산총파업’ 자주적 노동자 조직의 시작
1970년 전태일 분신 사건 한국 노동 인권운동의 전환점
1987년 6월 민주항쟁 & 7·8·9 노동자 대투쟁 전국적 노동조합 설립 확산 계기
1995년 민주노총 출범 투쟁 중심의 전국 단위 노동조합 탄생
2018년 주 52시간제 도입 장시간 노동 구조에 제도적 제동
2021년 플랫폼 노동자 산재 적용 확대 새로운 노동형태에 대한 제도적 대응 시작

노동자의 권리는 오랜 시간에 걸친 투쟁을 통해 얻어졌습니다. 대표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보죠.

1886년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사건

근로시간 단축(하루 8시간)을 요구하며 일어난 시위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하며 유혈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은 훗날 5월 1일 ‘노동절(근로자의 날)’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한국의 전태일 열사 분신(1970년)

서울 평화시장 재단사였던 전태일은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외침과 함께 자신의 몸을 불태우며 근로기준법 준수를 외쳤습니다. 그의 죽음은 대한민국 노동운동에 불을 지폈고, 이후 많은 노동단체와 활동가들이 결집하는 계기가 됩니다.


노동자 권리 쟁취를 위한 주요 단체

단체명                                                               주요 활동 및 영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민주노총) 비정규직 보호, 최저임금 인상, 노동법 개정 등 대규모 투쟁 주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총) 합법적 틀 안에서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교섭 중심
노동인권센터,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노동자 인권 보호, 비정규직 권리 향상 캠페인 등 다양하게 활동

지금 우리가 누리는 권리들

  •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장시간 노동 억제
  • 최저임금 매년 인상
  • 산업재해보험, 고용보험 등 4대 보험 의무화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감정노동자 보호법 제정
  • 출산휴가, 육아휴직 보장

이 모든 변화는 수많은 노동자들의 희생과 시민사회의 연대, 그리고 오랜 시간에 걸친 제도적 노력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지금도 이어지는 노동권 투쟁

비정규직, 플랫폼 노동자, 감정노동자 등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들을 위한 싸움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우리가 지켜야 할 건 과거의 권리뿐 아니라 미래의 권리입니다.


마무리하며 : 노동자의 권리는 ‘주어진 것’이 아닌 ‘쟁취한 것’

근로자의 날을 기념하며, 우리는 그저 쉬는 날이 아니라 그날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야 합니다.
그리고 지금도 어딘가에서 싸우고 있을 수많은 노동자들에게 연대와 지지의 마음을 보내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실천이 아닐까요?

728x90
반응형
LIST